맨위로가기

봉화 금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화 금씨는 금뢰의 후예로 위국에 연원을 두고,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 금용식의 후손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김포현 출신인 금의를 중시조로 하며, 봉화를 본관으로 한다.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으며, 경상북도 봉화군, 문경시, 영양군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 금씨 - 금태섭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인 금태섭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코넬대학교 법학 석사를 졸업하고 검사, 변호사,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여러 상임위원회, 당직을 수행하고 새로운선택을 창당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봉화 금씨 - 금동현
    금동현은 대한민국의 배우로서 영화,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여 조연 및 단역으로 활동했다.
봉화 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봉화 금씨
한자 표기奉化 琴氏
로마자 표기Bonghwa Geum ssi
관향경상북도 봉화군
창성기원:
(금용식)
(벽상공신)
역사
시조(금용식)
중시조금의
인물
주요 인물금민
금나나
금새록
금동현
금병주
금강산
금극해
금의
금진호
금창휘
금유
금이영
금인배
금융협
금동수
금난수
금창태
금춘수
금태섭
금훈
금경화
금혜진
통계
2015년 인구23,301명
기타 정보
참고 자료한국학중앙연구원 봉화금씨 奉化琴氏 링크

2. 기원

금씨(琴氏)는 위국(衛國)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주(周)나라 경왕(景王, 재위기간: 기원전 544년~520년) 때 공자의 제자인 금뢰(琴牢)의 후예로 전해진다.

금응(琴應)은 기자와 함께 고조선에 동래(東來)하여 금씨(琴氏)의 시원을 이루었다고 한다.

3. 역사

시조 '''금용식'''(琴容式)은 고려 초에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라 태사(太師)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금용식으로부터 6세 내지 8세의 세계가 실전되어 금의(琴儀)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중시조 '''금의'''(琴儀)는 김포현(金浦縣) 출신이며 초명은 금극의(琴克儀)이다. 1184년(고려 명종 14년)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신종(神宗) 때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가 되었으며, 희종(熙宗) 때 지주사(知奏事)·지이부사(知吏部事) 등을 지냈다. 1211년(강종 즉위년) 왕의 즉위에 대한 책명사의 접대에 공을 세우고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簽書樞密院事左散騎常侍翰林學士承旨)에 올랐다. 1215년(고종 2) 정당문학, 수국사(政堂文學修國史),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守太尉中書侍郎平章事)가 되고, 1220년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으며,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로 치사하였다. 지공거로서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금학사옥순문생(琴學士玉筍門生)'이라 하였으며, 『한림별곡(翰林別曲)』에 금학사(琴學士)라 기록되어 있다. 묘는 경기도 김포시 봉화산에 있다.

금의(琴儀)의 맏아들 금기(琴耆)는 호부 원외랑(戶部員外郞), 둘째아들 금규(琴揆)는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넷째아들 금휘(琴暉)는 좌우위 대장군(左右衛大將軍), 다섯째 금희(琴禧)는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다.

4. 본관

봉화 금씨가 봉화에 세거한 시기는 10세 금우공(琴遇工) 이후부터라고 한다. 금우공 이전까지 금씨는 강화, 용인, 옥천, 담양, 영암 등지에 세거하였다가 금우공이 경상북도 봉화군에 입거한 이후로 봉화를 관향으로 정하였다.

5. 인물

봉화 금씨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인물은 각각 해당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현대'''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주요 경력
금진호LG 상사 대표이사 사장
금진호(琴震鎬)1932년제31대 상공부 장관
금춘수(琴春洙)1953년한화그룹 부회장
금동수(琴東秀)1956년KBS 부사장
금태섭(琴泰燮)1967년제20대 국회의원
금창휘1979년개발자, 프로그래머, TG삼보 공동대표이사 겸 CEO
금나나1983년대학교수
금경화(琴瓊和)1982년미국 The Kum Group 회장
금혜진서울대 의과대학 / 서울아산병원 외과의사

[1]

5. 1. 고려

금용식(琴容式)은 고려 초에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라 태사(太師)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금용식으로부터 6세 내지 8세의 세계가 실전되어 금의(琴儀)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중시조 금의(琴儀)는 김포현(金浦縣) 출신이며 초명은 금극의(琴克儀)이다. 1184년(고려 명종)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신종(神宗) 때 상서우승, 우간의대부, 태자찬선대부가 되었으며, 희종(熙宗) 때 지주사(知奏事)·지이부사(知吏部事) 등을 지냈다. 1211년(강종 즉위년) 왕의 즉위에 대한 책명사의 접대에 공을 세우고 첨서추밀원사, 좌산기상시, 한림학사승지(簽書樞密院事左散騎常侍翰林學士承旨)에 올랐다. 1215년(고종 2) 정당문학, 수국사(政堂文學修國史),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守太尉中書侍郎平章事)가 되고, 1220년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으며,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로 치사하였다. 지공거로서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금학사옥순문생(琴學士玉筍門生)'이라 하였으며, 『한림별곡(翰林別曲)』에 금학사(琴學士)라 기록되어 있다. 묘는 경기도 김포시 봉화산에 있다.[1]

금의(琴儀)의 맏아들 금기(琴耆)는 호부 원외랑(戶部員外郞), 둘째아들 금규(琴揆)는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넷째아들 금휘(琴暉)는 좌우위 대장군(左右衛大將軍), 다섯째 금희(琴禧)는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다.[1]

  • 금의(琴儀, 1153년 ~ 1230년) : 삼한공신(三韓功臣) 금용식(琴容式)의 후예. 1184년(명종 14)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으며,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로 치사하였다.[1]
  • 금훈(琴熏) : 고려 원종 때에 합문부사(閤門副使)를 지냈고, 삼별초의 난 때 왕명으로 원나라에 가서 원병을 요청했다.[1]
  • 금극해(琴克諧) : 1385년(고려 우왕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도사(都事)를 지냈다.[1]

5. 2. 조선


  • 금유(琴柔) : 금극해의 아들. 1396년(조선 태조 5년) 문과에 급제하여 1441년(조선 세종 23년)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지병조사(知兵曹事), 전라도 관찰사를 역임하고, 1442년 공조 참의에 올랐다. 저서로 《영남지리지(嶺南地理誌)》가 있고, 《영각서풍청(鈴閣署風淸)》이라는 시를 남겼다.[1]
  • 금이영(琴以詠) : 금유의 아들. 1447년(조선 세종 29)에 문과에 급제한 뒤 조선 세조 때 승문원부교리·청주판관을 역임하였고, 1472년(조선 성종 3) 승문원교리로서 예종부묘사(睿宗祔廟事)에 집사로 참여하여 1계를 가자받았다.[1]
  • 금인배(琴仁誹) : 조선 태조의 넷째 아들 회안대군을 사위로 삼아 국혼을 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후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박포의 거짓 밀고를 믿은 방간이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방원에게 패하여 귀양가게 되자 처족인 금씨도 이의 영향을 받았다.[1]
  • '''금보'''(琴輔, 1521년1584년)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본관은 봉화, 호는 매헌(梅軒)·백률당(柏栗堂)이다. 이숙량, 오수영과 더불어 퇴문삼필(退門三筆)이라 불렸으며, 퇴계묘비·도산신판(陶山神版) 등을 남겼다.[1]
  • 금응협(琴應夾, 1526년 ~ 1596년) : 예안훈도(禮安訓導) 금재(琴梓)의 아들. 1555년(조선 명종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참봉(參奉), 하양현감(河陽縣監), 익찬(翊贊)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일휴집(日休集)』이 있다.[1]
  • 금난수(琴蘭秀, 1530년 ~ 1604년) : 첨지중추부사 금헌(琴憲)의 아들. 1561년(조선 명종 16) 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 직장(直長), 장례원사평을 지낸 뒤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1599년 봉화현감에 임명되었다. 좌승지에 추증되고 예안(禮安)의 동계정사(東溪精舍)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성재집(惺齋集)』이 있다.[1]

5. 3. 현대

6. 과거 급제자

봉화 금씨 과거 급제자[6]
종류이름
문과금개, 금곤, 금상현, 금섬, 금성규, 금숭, 금시술, 금시조, 금업, 금옥심, 금유, 금의, 금이영, 금충달
무과금결, 금기인, 금덕화, 금숙기, 금윤음, 금휘
생원금간조, 금개, 금경, 금경제, 금난수, 금대수, 금대아, 금명지, 금몽일, 금복고, 금사신, 금상훈, 금선명, 금성심, 금순고, 금술효, 금숭, 금시조, 금심항, 금양중, 금영택, 금오, 금옥심, 금용성, 금운심, 금원, 금응협, 금응훈, 금이고, 금익, 금축, 금치심, 금함, 금호, 금훈, 금훈룡
진사금구성, 금보, 금봉서, 금사문, 금서규, 금섬, 금성규, 금성휘, 금세겸, 금시정, 금시해, 금양령, 금업, 금용두, 금우열, 금원정, 금원형, 금의, 금이아, 금익상, 금인, 금철효, 금축, 금충달, 금치겸


7. 집성촌

8. 인구

봉화 금씨 인구
연도인구
1999년1명
2000년2명
2001년1명
2003년2명
2015년0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봉화금씨 奉化琴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4] 웹사이트 금씨(琴氏) 본관(本貫) 봉화(奉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5] 웹사이트 고려사』 권102, 열전15 https://terms.naver.[...]
[6] 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